[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6 23:03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hwp
그림 . ABO식 혈액형 검사
※ABO 혈액형 검사
?
- 혈구형 검사 (cell typing) : 피검 적혈구를 각각 anti-A 및 anti-B 항체와 reaction
? 시킨 후 응집 유무 觀察(관찰)
? - 혈청형 검사 (serum typing) : 피검 혈청을 각각 A형 및 B형 적혈구와 reaction 시킨 후
? 응집유무 觀察(관찰)
판정
cell typing
serum typi…(투비컨티뉴드 )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
설명
[의학,약학][의학],ABO식,혈액형,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 ,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의학] ABO식 혈액형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1.gif)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2.gif)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3.gif)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4.gif)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5.gif)
![[의학,약학][의학]%20ABO식%20혈액형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C%9D%98%ED%95%99%5D%20ABO%EC%8B%9D%20%ED%98%88%EC%95%A1%ED%98%95_hwp_06.gif)
Download : [의학,약학][의학] ABO식 혈액형.hwp( 89 )
레포트/의약보건
다. 란트슈타이너는 여섯 명의 적혈구 부유액과 혈청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혼합한 후 응집의 觀察(관찰) 을 통해 사람의 혈청에는 자신의 적혈구 ABO 항원에 대응하지 않는 응집항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후 이 발견을 란트슈타이너법칙1)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읽을 때는 영어의 O로 부르면 된다된다. 예를 들면 적혈구에 A항원만 있고 B항원이 없는 사람은 혈청에 항B 항체를 갖고 있다
각각의 ABO 표현형과 간련된 항원 및 항체는 4가지 표현형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각각 A형, B형, AB형, O형, 이다. ABO 혈액형은 수혈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혈액형이다.
수혈자에게 부적합한 ABO 혈액을 수혈하면 혈관내 요혈 및 급성용혈성수혈reaction (acute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2)과 같은 심각한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ABO혈액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ABO식 혈액형 검사를 알 필요가 있는데 O형은 항A와 항B 어느 것에 의해서도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다. § ABO식 혈액형
1. ABO 혈액형에 대한 역싸적 고찰
1900년 Karl Landsteiner에 의한 ABO 혈액형의 발견은 현대 혈액은행과 수혈의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O형을 정확하게 증명하기 위해서는 항 H의 사용이 필요하다. 안전한 수혈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공혈자와 수혈자 간에 ABO 혈액형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한다. O형의 O는 본래 영(zero)을 가리키며, 이를 사용하게 된 동기가 항A와 항B에 의해 응집되지 않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