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看護學(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1:06
본문
Download :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hwp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의약보건,레포트
Ⅰ.Liver Cirrhosis 간경화증
1. 간의 구조
간은 횡격막 바로 아래 우상방(RUQ)에 위치한다.
2. 간의 기능
① 해독 작용 및 분비작용
체내 외에서 생성되어지거나 유입되어온 산물들을 수용성 상태로 바꾸어 체외로, 주로 소변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장기
② 탄수화물 대사
- 혈중 포도당 치가 높은 경우에 과잉의 포도당은 수동 확산에 의해 간세포로 흡수
- 흡수된 포도당은 당 분해 작용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당원생성과정을 거쳐 당원을 합성
- 혈중 포도 당치 낮을 때는 간에서 당원의 분해 혹은 아미노산으로부터의 단 신생에 의해 포도당을 생성하여 혈액으로 유리시킴(당질 신생)
- so 혈중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
③ 저장
- 당원을 저장하여 필요할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비타민 B12와 지용성인 A, D, K 저장하는 주요 장기
④ 합성
- 간 역할에 필요한 아미노산들과 트란스아미나제, 알칼리성 포스파제를 포함한 각종 효소 들을 합성
- 요소 여러 혈장 단…(省略)
[看護學(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
[看護學(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1.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2.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3.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4.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5.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0%84%ED%98%B8%ED%95%99%5DLiverCirrhosis%EA%B0%84%EA%B2%BD%ED%99%94%EC%A6%9D_hwp_06.gif)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 ,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의약보건레포트 ,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
Download : [간호학]LiverCirrhosis간경화증.hwp( 62 )
설명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다.
우측 횡격막 아래 위치한 간은 거의 늑골(갈비뼈)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따
건강한 사람의 간은 적갈색을 띄고 있으며 심장에서 박출하는 혈액의 25%에 해당하는 약 1.45L의 혈액을 공급받는다.
우리 몸 중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200-1500g 즉,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2%를 차지한다.
사람의 간은 참깨만한 크기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약 5만 - 10만개의 간소엽(liver lobule)으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것은 1-2 mm 정도 직경의 원통형 모양의 집합체이다.
간은 외형적으로는 1개의 장기로 되어 있으나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좌엽(left lobe)과 우엽(right lobe)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엽은 다시 4개의 구역(segment)으로 구분되어 결국 총 8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