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3:20
본문
Download :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hwp
근위면은 concave하기 때문에 대퇴과와 관절을 이루고 있으며, 원위면은 평평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전각부는 경골의 전방에 부착되어있으며, LM의 전각부와 횡인대와 연결되어 있다. 반월상 연골의 인장강도와 stiffness는 외측 반월상 연골이 내측 반월상 연골에 비하여 강하다.
레포트 > 의학계열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427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B%B0%98%EC%9B%94%EC%83%81%20%EC%97%B0%EA%B3%A8%20%EC%86%90%EC%83%81-4270_01.jpg)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427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B%B0%98%EC%9B%94%EC%83%81%20%EC%97%B0%EA%B3%A8%20%EC%86%90%EC%83%81-4270_02_.jpg)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427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B%B0%98%EC%9B%94%EC%83%81%20%EC%97%B0%EA%B3%A8%20%EC%86%90%EC%83%81-4270_03_.jpg)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427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B%B0%98%EC%9B%94%EC%83%81%20%EC%97%B0%EA%B3%A8%20%EC%86%90%EC%83%81-4270_04_.jpg)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427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B%B0%98%EC%9B%94%EC%83%81%20%EC%97%B0%EA%B3%A8%20%EC%86%90%EC%83%81-4270_05_.jpg)
다른 관절보다 슬관절의 손상은 사람의 활동에 더 많은 장애를 유발한다.
다. 전방십자인대의 섬유 일부분이 이 횡인대에 합쳐진다. 반월상연골의 손상은 슬관절 손상 중 가장 빈도가 높으며, 운동선수가 가장 손상받기 쉬운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hoop tension에 효과적으로 adaptation(적응) 할 수 있게 하며, 체중 부하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길이가 3.5cm 정도이며, 후각부가 전각부보다 넓다. cuttting, jump, deceleration 동작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축구, 농구, 야구, 미식 축구 등과 같은 운동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흔하다. 반월상연골의 손상은 슬관절 손상 중 가장 빈도가 높으며, 운동선수가 가장 손상받기 쉬운 구조물이다.
설명
순서
반월상연골은 대퇴과와 관절을 형성할 수 있게 경골의 관절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경골의 일부로 생각해야 한다.
반월상 연골 손상,연골 손상, 반월상
Download :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hwp( 15 )
[의학] 반월상 연골 손상
1)medial meniscus
다른 관절보다 슬관절의 손상은 사람의 활동에 더 많은 장애를 유발한다. cuttting, jump, deceleration 동작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축구, 농구, 야구, 미식 축구 등과 같은 운동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흔하다. ML의 골 전작부의 변형이 간혹 보고되고 있다.
반월상 연골의 외곽은 두껍고 convex한 모양을 이루고 있는 wedge 형태로서 관절낭에 견고하게 붙어 있다. 원위부와 근위부의 표면은 관절낭과 연결되어있으며, 특히 반월상 연골의 변연부는 coronary lig. 에 의하여 경골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내측 반월상 연골보다 외측 반월상연골이 더 원형에 가깝고, 전각부와 후각부는 경골에 견고하게 붙어있으며, 특히 반월상 연골 변연부의 1/3에 collagen 섬유들이 종배열로 치밀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변연부는 관절낭과 견고하게 부착되어있다. 전체적인 모양은 길이가 35cm 정도인 C 형태를 이루고 있다. 후각부가 전각부보다 폭이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