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7:31
본문
Download : 범종.hwp
,기타,레포트
설명
Download : 범종.hwp( 53 )
순서
飛天과 佛菩薩像 - 비천상은 신라종에서 많이 나타나며 불보살상은 고려와 조선종에서 나타난다.
撞座와 종의 몸매 - 당좌는 종을 치는 당목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종의 몸매 q 시대별로 차이가 있는데 신라조은 늘씬하게 길며, 밑ㅇ로 갈수록 천천히 배가 부르다 2/3쯤에서 도로 안쪽으로 살짝 들어가는 모양이다. 조선종은 위에서부터 평퍼짐하게 선을 그리면서 내려오다가 끝에와…(투비컨티뉴드 )
飛天과 佛菩薩像 - 비천상은 신라종에서 많이 나타나며 불보살상은 고려와 조선종에서 나타난다. 고려종은 길이가 짧아져서 종의 밑인 종구의 지름과 키가 거의 1 : 1 에 가까워지며, 밑으로 갈수록 차츰 배가 부르다가 배부른 모습이 거의 직선을 이루며 끝까지 나아간다. 고려종은 꼬리 구름위에 놓인 연꽃 자리에 홀로 앉은 부처·보살의 모습이고 조선종은 거의 대부분 연꽃 위에 꼿꼿이 선채로 합장한 보살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아 비천상에서 불보살상으로 바뀐 이유는 부처님에 대한 강했던 신심이 옅어지면서 불상의 힘을 빌려야 했기에, 신심이 아닌 신앙의 힘을 빌어야 했기 때문이라 한다. 고려종은 꼬리 구름위에 놓인 연꽃 자리에 홀로 ...
레포트/기타
다. 고려종은 꼬리 구름위에 놓인 연꽃 자리에 홀로 ... , 범종기타레포트 ,





범종
飛天과 佛菩薩像 - 비천상은 신라종에서 많이 나타나며 불보살상은 고려와 조선종에서 나타난다. 당좌의 위치는 종의 소리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밑동에다 치면 소리는 크나 뒤섞여서 시끄럽고 깨어지기도 잘 하므로 가장 적절한 위치는 밑에서 1/3쯤이 좋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