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어의 단어 형성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06:43
본문
Download : 『신어의 단어 형성법』.hwp
또한 새로 귀화 (歸化)한 외래어도 신어에 포함되며, 넓게는 종래에 사용되던 단어에 새로운 용법 또는 의미를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있따 신어는 그때까지는 없던 물건이나 定義(정의) 을 표현할 당위성 외에도 같은 사물을 신선하게, 또는 완곡한 표현을 할 필요가 있거나 동음이의 어(同音異義語)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등에도 사용된다
신어는 전혀 새로운 단어형을 만들내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극히 드물며, 기존단어의 합성 또는 투비컨티뉴드 등을 이용하거나, 외래어나 방언에서 차용(借用)하는 경우가 많다.
♣ 기원별 특징
고유어한자어외래어고+한고+외한+외고+한+외어수총112
(명 104)
(동 4)
(형 6)
(감 4)
(부 1)
(관용 3)총1,685
(구 74)
(명 1560)
(접 1)
(부 1)
(관 44)
(의존 5)총419
(구 57)
(명 361)
(의존 1)총328
(구 8)
(명 203)
(동 114)
(형 3)총50
(구 1)
(명 32)
(동 9)
(형 8)총268
(구 55)
(명 206)
(관 7)총 12
(명 4)
(동 7)
(관용 1)비율4.258.414.511.41.79.30.4
♣ 신어의 단어형성법
1) 단일어
단일어의 경우 대부분 명사로서 두 개 이상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따 만일 한자 하나하 나를 형태소로 본다면 이들은 합성어로 볼 수도 있따
▶ `선수협`, ‘수능’, ‘연합사’, ‘조폭’, ‘특위’, ‘자봉’, ‘전공련’, ‘증시’, ‘화전’, ‘특목고’
위와 같은 약어도 여기에서는 편의상 일률적으로 단일어로 처리하였으나 관점을 달리 해보면 합성어나 파생어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들을 제외하면 파생 명사로서 들 수 있는 것으로는 ‘은따(慇-…(투비컨티뉴드 )
다.
신어의단어형성법



설명
Download : 『신어의 단어 형성법』.hwp( 92 )
레포트/기타
『신어의 단어 형성법』
,기타,레포트
『신어의 단어 형성법』신어의단어형성법 , 『신어의 단어 형성법』기타레포트 ,
『신어의 단어 형성법』
순서
♣ 신어 新語(neologism)란?
신어는 새로이 만들어져서 사용되는 단어 즉, 새로 생긴 말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