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저작물a - 편집저작물의 법적 보호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14:29
본문
Download : 편집저작물a.hwp
다. 이 같은 특수성을 감안하여 몇 가지 특별 규정이 있따
Ⅱ. 요건
1. 편집물일 것
① 백과사전 판례집 등과 같이 편집자가 일정 방침에 의해 정보 가치 있는 나 저작물을 체계적으로 요약한 것이 있따 소재가 저작물인지 여부는 불문한다.
② 법문중 ( )이란 데이터 베이스를 말한다.
2. 구별
편집저작물은 2차적 저작물과 새로운 창작성이 부여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따 편집저작물은 저작물 등을 그대로 선택 배열한다는 점에서 원 저작물에 내적인 변형을 가하여 창작되는 2차적 저작물과 구별된다 또한 편집저작물은 소재가 저작물인지 여부와 무관하지만 2차적 저작물은 반드시 저작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② 이러한 창작성은 저작물 성립요건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많은 자본을 투자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도 소재의 선택 배열에 창작성이 없으면 보호받지 못한다.편집저작물a,법학행정,레포트
편집저작물a
Download : 편집저작물a.hwp( 94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편집저작물의 법적 보호 문제
Ⅰ. 편집저작물의 개요
1. 의의
편집저작물이란 편집물(논문 수치 도형 기타 의 집합체로서 이를 정보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한다)로서 그 소재의 선택 배열에 창작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소재의 수집 선택에 편집자의 정신적 노력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편집저작물에는 소재로서 보호받는 저작물이 이용될 경우에는 원 저작자의 권리와 편집저작자의 권리가 병존한다. , 편집저작물a - 편집저작물의 법적 보호 문제법학행정레포트 , 편집저작물a
편집저작물a - 편집저작물의 법적 보호 문제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3. 법상 취급
편집저작물도 독자적으로 보호됨을 명시하였다.
3. 소재저작자의 동의 여부
성립요건설과 단순 적법요건설이 있으나 현재는 후자가 통설이다. 동의가 없어도 편집저작물로서 …(생략(省略))



설명
편집저작물a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③ 창작성의 판단은 매우 어려워서 사안마다 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단지 소재를 잡다하게 끌어 모은 것이나 단순한 사실을 기계적으로 가나다순으로 배열한데 그친 것은 편집저작물로 보호되지 않는다.
2. 소재의 선택 배열에 창작성이 있을 것
① 이것은 소재를 일정한 방침 목적을 갖고 수집 선택 배열 등에 창의성을 발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