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당집}번역의 몇가지 problem(문제점)과 改善 대안(草稿)`을 읽고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4 05:40
본문
Download : `{조당집}번역의 몇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草稿)`을 읽고.hwp
%60%EC%9D%84%20%EC%9D%BD%EA%B3%A0_hwp_01.gif)
%60%EC%9D%84%20%EC%9D%BD%EA%B3%A0_hwp_02.gif)
%60%EC%9D%84%20%EC%9D%BD%EA%B3%A0_hwp_03.gif)
%60%EC%9D%84%20%EC%9D%BD%EA%B3%A0_hwp_04.gif)
%60%EC%9D%84%20%EC%9D%BD%EA%B3%A0_hwp_05.gif)
설명
이상한 title proper(제목)
① `1장 2절, {조당집}에 대한 간략한 introduction` - `introduction`는 어차피 `간략한` 것. title proper(제목)에 `간략한`이란 용어의 사용은 좋지 않아 보임.
② `1장 2절 (1) 발견경위와 再彫` - 발견경위는1912년부터의 일이고 `再彫`는 고려시대의 일. 이 두 사건 사이의 관련성은 단지 `잊혀졌다가 다시 발견되었다`는 점일 뿐. 이 둘을 굳이 연관시키고자 한다면 순서대로 `고려개판과 재발견 경위`가 옳을 것임.
→ 이처럼 title proper(제목) 설정이 어색하기 때문에 본문의 구조에서도 이상한 부분이 보임. 즉, `再彫`에 관한 부분이 (다) 항목 아래에 갑자기 출현함. 또 1장 2절의 `머리말` 부분과 (1)소절, (2) 소절의 내용은 조금씩 중복되고 있음.
장절의 title proper(제목)과 관련 없는 서술들
① 1장 2절 (4)소절에서 `…improvement(개선) plan을 제시한다` 아래의 4줄은 당해 소절의 언급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음.
② 3.1.1의 (2)에서 [意見(의견)] 부분의 서술이 별표 `*`와 괄호문자 `(가), (나)`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것이 主이고 어느 것이 從인지 쉽게 와닿지 않음.
어투
논문의 어투는 작성자의 취향이지만 어차피 읽히는 것을 전제하는 만큼 독자의 편의를 위해 이런 점을 고려하면 좋을 듯.
① 각주 : `자세한 것은 ∼를 참고할 것` → 지나친 명령어투. 또, 참고…(省略)
Download : `{조당집}번역의 몇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草稿)`을 읽고.hwp( 22 )
Kn123255_조당집번역의몇가지문제점과개선방안을읽고 , `{조당집}번역의 몇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草稿)`을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Kn123255_조당집번역의몇가지problem(문제점)과改善대안을읽고쓰기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조당집}번역의 몇가지 problem(문제점)과 改善 대안(草稿)`을 읽고쓰기
다.